p2p 저축, p2p 투자

요즘 P2P 투자 하시는 분들이 매우 많습니다. 언론 등에서도 P2P 투자 , P2P 대출 에 대해서 많이 다루고 있는데요. 한국P2P금융협회에서는 P2P 업체에는 2016년 6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매월 P2P 업체의 누적취급액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1,500억원부터 시작된 누적금액이 현재 3조 2천억까지 증가했습니다.



먼저 P2P(Peer-to_Peer) 금융은 P2P대출자와 P2P투자라를 온라에서 연결해주는 사업으로 오프라인 지점을 운영하지 않기때문에 비용절감이 극대화되어 대출자에게는 낮은 금리를, 투자자에게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P2P 투자 업체에는 요즘 떠오르고있는 lendit 렌딧 부터 , 굳건히 자리를 지키는 테라펀딩, 8퍼센트, 팝펀딩, 루프펀딩, 사이다, 코리아펀딩 등 매우 많이 있습니다.


P2P 투자 업체를 고를 때는 금리라던지 다양한 지표도 중요하지만 연체율과 부실률을 따져봐야 할것같습니다. 연체는 투자한 금액을 상환하지 않고 30일이상~90일미만동안 지연되는 현상인데 당연히 투자자입장에서 좋지 않겠죠. 



부실률은 연체율보다 좋지않은 지표로 90일 이상 장기 연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P2P 투자시에는 부실률이 높은 업체는 절대 선택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P2P 투자 및 대출 업체 중 테라펀딩이라던지 루프펀딩, 8퍼센트, lendit 렌딧, 팝펀딩 등은 작년기준으로 부실률이 1%미만으로 확인되는데요. 더욱 정확한건 각 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것이 정확할 것 같습니다.


저는 정확한 P2P 투자를 위해 각 회사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해서 확인을 합니다. 방금전에도 lendit 렌딧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여러가지 정보를 모았는데요. 렌딧에서는 2018년 12월 기준 P2P 투자 대출 업체 중 최대 규모 누적투자액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또한 lendit 렌딧에서는 P2P 투자 금액을 잘게 쪼개어 분산투자하는 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수익 후 내야하는 세금을 절약하는 절세효과가 큰 투자를 선호한다고 합니다. 투자시 세금이 생각보다 많기때문에 항상 절세를 생각하고 투자해야합니다. 



그리고 P2P 투자라고 하면 위험한거 아닐까? 법적 보장이 되는 금융사일까?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다고 들었는데, 은행과 마찬가지로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의2(중요 사항의 자필기재)'에 따라서 법적근거를 남기며, lendit 렌딧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한결과 이 외에도 200가지 이상의 다양한 심사기준을 통해 대출자 등의 건정성을 파악한다고 합니다.


lendit 렌딧은 아이폰 및 안드로이드 어플도 있으니, 투자 및 대출을 이용할 경우 잔액 및 수익률 확인도 매우 편합니다. P2P 투자 또는 P2P 대출은 개인당 투자 및 대출금액이 매우 크지 않으며 보통 2천~4천만원이 최대라고 합니다. 간편하게 lendit 렌딧 홈페이지에서도 1분 내로 P2P 투자 시 최대 금리와 P2P 대출시 최대 한도 및 금리도 확인가능합니다.



또한 회사별 누적투자건수 , 재투자율, 1인당 평균투자금액 등도 각 사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합니다. lendit 렌딧 홈페이지에서도 해당정보가 확인가능했으며, 재투자율이 73%로 매우 높고 1인당 평균 투자금액은 339만원으로 확인되었습니다. 



1금융권 또는 2금융권에서 투자하기에는 금리가 매우 낮고 대출금리는 높습니다. 주식투자는 고수익을 낼순있지만 원금손실 리스크가 있으니 주식투자만큼의 고수익까지는 아니더라도 은행이자보다는 많이 받고 환금성이 높은 상품을 원한다면 P2P 대출만한게 없는것 같습니다. 저는 lendit 렌딧 투자를 하고 있지만 여러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후 투자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